재활게시판

재활 게시판

자유롭게 재활과 기타 일상 내용들을 공유하세요!

재활 게시판

티로그테마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버인 요양정보] 어르신이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통증 신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11-19 11:01

본문

95ca731799e9eb56d08c9023edb441e7_1763517609_7737.png


안녕하세요 실버인입니다

요양현장에서 가장 어려운 순간 중 하나는

어르신이 분명 아파 보이지만 말로 표현하지 않으실 때입니다.

특히 치매가 있는 어르신은

"아프다", "여기가 불편하다"는 말을 하기보다

표정이나 행동으로 신호를 보내는 경우가 정말 많아요.

오늘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어르신의 통증 사인

가장 쉽게, 실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정리해드릴게요.


95ca731799e9eb56d08c9023edb441e7_1763517650_1435.png

1️⃣ 표정으로 나타나는 통증 신호

어르신의 얼굴은 통증을 숨기지 못합니다.

특히 이런 변화가 자주 보여요.

✔️ 찡그린 얼굴, 미세한 눈썹 사이의 수축

✔️ 입술을 깨물거나 입을 꾹 다무는 표정

✔️ 무표정이 갑자기 증가(얼굴이 굳음)

✔️ 평소보다 훨씬 예민해 보이는 인상

치매 어르신은 심한 고통이 아니면 "안 아파"라고 하시는 경우도 많아요.

그러나 표정 변화는 대부분 통증이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2️⃣ 손과 몸의 ‘작은 움직임’으로 나타나는 신호

말 대신 몸이 먼저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아픈 부위를 자주 만지거나 쓰다듬음

✔️ 하반신 통증이 있을 때 의자에서 자꾸 허벅지를 누름

✔️ 통증 부위에 가까운 손을 가만히 두지 못하는 행동

✔️ 평소보다 손을 움츠리거나 손가락을 떨기 시작

특히 치매 어르신은 '손이 알려주는 신호'가 가장 명확합니다.

어르신의 손이 평소와 다르게 움직이거나, 갑자기 힘이 없어 보이면 체크해보세요.

3️⃣ 평소와 다른 행동이 나타날 때

통증은 행동을 크게 바꿉니다.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을 때, 원인을 한 번 의심해보세요.

✔️ 갑자기 잠을 못 주무심

✔️ 식욕 급감 또는 과식

✔️ 짜증·불안 증가

✔️특정 행동 반복(옷깃 잡기, 가슴 치기 등)

✔️걷다가 갑자기 멈추거나 비틀거림

특히 갑작스러운 무기력함이나 말수가 줄어드는 변화

통증 또는 컨디션 저하의 중요한 신호입니다.

4️⃣ “치매 어르신의 통증”이 더욱 놓치기 쉬운 이유

치매 어르신은 통증을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통증을 '다른 감정'으로 표현(짜증, 분노, 초조함)

✔️ 통증 원인을 기억하지 못해 설명을 못함

✔️ 낯선 보호사 앞에서 말하기를 불편해함

✔️ '참는게 미덕'이라고 생각하시는 세대적 특징

그래서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읽을 수 있는 눈이 정말 중요해요.

5️⃣ 통증이 의심될 때 바로 해볼 수 있는 실전 체크

요양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체크 포인트입니다.

1. 자극 포인트 만져보기

어깨·무릎·허리·복부·발목 등 부위를 가볍게 눌러서 반응 확인.

2. 움직임 관찰

일어서기, 앉기, 걷기, 엎드리기 동작에서 표정과 속도 체크

3. 일상 변화 기록

오늘 식사량 / 이동 거리 / 표정 / 말수 / 잠 패턴 비교.

4. 원래 모습과 비교

어르신의 평소 성향을 정확히 기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르신의 통증은 말보다 표정·손·행동이 먼저 알려줍니다.

특히 치매가 있는 어르신일수록

작고 미묘한 변화가 가장 중요한 신호가 돼요.

어르신의 몸은 언제나 우리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 신호를 놓치지 않고 잘 들어주는 것이

요양의 가장 큰 기술이자 마음인 것 같습니다

 

이상 실버인 요양정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dafc55dd2e2803605d11a67287ebcdc8_1736297334_6506.png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33-7107

입소 상담

상담하기

온라인 상담

카카오 채널

간편상담신청

- -
(필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