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인 요양정보] 해외에서는 어떻게 할까? 국제 요양·돌봄 사례 탐구 > 재활게시판

재활 게시판

자유롭게 재활과 기타 일상 내용들을 공유하세요!

재활 게시판

티로그테마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버인 요양정보] 해외에서는 어떻게 할까? 국제 요양·돌봄 사례 탐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4회 작성일 25-09-23 09:21

본문

2b12faa4c48a20bb380146fef5550772_1758586761_3783.png


안녕하세요 실버인입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요양과 돌봄 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사실 이런 고민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미 먼저 고령사회를 경험한 나라들이 다양한 정책과 실험을 통해

해답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네덜란드, 일본, 덴마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해외에서는 어떻게 어르신을 돌보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b12faa4c48a20bb380146fef5550772_1758586805_1764.png

네덜란드 – “집에서 오래” (Langer Thuis)

네덜란드의 정책 이름부터가 '집에서 오래'입니다.

시설보다는 어르신이 익숙한 집과 동네에서 살며 존엄을 유지하는 것

최우선 가치로 둡니다.

- 정부는 집 안에 손잡이, 미끄럼 방지 장치, 응급 호출 버튼 등

안전한 환경을 설치하는 비용을 지원합니다.

- 거동이 불편하면 전문 간호사와 돌봄 인력이 집으로 방문

돌봄, 식사, 투약을 도와줍니다.

또한 ICT 기기를 활용해 원격 모니터링을 하거나, 스마트 센서를 통해 안전을 확인하기도 합니다.

- 지역 주민 자원봉사자들이 말벗이나 장보기 등

생활 지원 활동에 함께 참여합니다.

요약하면, '돌봄=시설'이 아니라 '돌봄=생활'이라는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2b12faa4c48a20bb380146fef5550772_1758586827_6281.png

일본 – 지역사회와 연결된 ‘유니티 케어’

일본은 한국보다 앞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나라입니다.

그래서 '지역포괄케어 시스템(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즉 '유니티 케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동네 단위 거점 센터를 중심으로,

의료·재활·돌봄·주거·생활지원 서비스를 통합 제공합니다.

- 병원·요양원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동네 안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요양 인력을 적극적으로 채용하며,

특히 EPA 협정을 통해 인도네시아·필리핀 등에서 온

개호 인력을 교육·활용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어르신이 자신의 동네에서 계속 살아가며 필요한 도움만 받는다는 점입니다.

2b12faa4c48a20bb380146fef5550772_1758586840_5757.png


덴마크 – “탈시설 정책”과 시민으로서의 노인

덴마크는 유럽에서 가장 복지국가다운 모델로 자주 언급됩니다.

여기는 탈시설 정책을 강조합니다.

- "노인은 환자가 아니라 시민"이라는 철학에 따라,

시설보다는 개별 주거와 지역 커뮤니티 돌봄을 강화합니다.

- 새로운 요양원 건립을 줄이고 기존 시설을 줄여나가며,

재가·커뮤니티 케어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노인은 자택이나 공동주택에서 지내며

공공 돌봄 서비스를 받습니다.

- 필요할 경우 간호사, 물리치료사, 돌봄 인력이 집으로 파견되어

개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즉, 돌봄은 권리라는 철학을 실현하는 구조입니다.

2b12faa4c48a20bb380146fef5550772_1758586853_6924.png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세 나라의 공통된 키워드는 시설보다 생활입니다.

- 시설에 입소해 획일적인 돌봄을 받기보다는,

- 집과 동네에서 나답게 살아가며 필요한 부분만 지원받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한국 역시 점점 비슷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 케어) 시범사업이 바로 그 예입니다.

- 앞으로는 요양시설 확충보다 재가 돌봄 서비스, 방문 건강관리, 스마트 복지용구 보급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어르신이 원하는 삶의 방식"을 존중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사회가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해외의 요양·돌봄 사례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 네덜란드처럼 집에서 오래 머물 수 있게,

- 일본처럼 동네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받고,

- 덴마크처럼 노인도 시민으로 존중받는 사회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변화가 서서히 시작되고 있다는 점이 참 반갑습니다.

실버인은 앞으로도 국내외 다양한 요양정보를

쉽고 이해하기 좋게 전해드리겠습니다

 

이상 실버인 요양정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dafc55dd2e2803605d11a67287ebcdc8_1736297334_6506.png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33-7107

입소 상담

상담하기

온라인 상담

카카오 채널

간편상담신청

- -
(필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