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스

재활과 각종 의학 소식을 빠르게 접해보세요.

뉴스

티로그테마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조하면 폐도 괴롭다…가습기 장시간 켜야 효과 [건강한겨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최고관리자 25-02-14 09:12 댓글 0건
조회수 2   추천 0   댓글 0

본문

높은 습도, 장기적으로 폐조직 보호
단기적으로는 폐 기능 저하 가능성
“겨울엔 가습기, 여름엔 제습기·환기”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은 폐와 호흡기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게티이미지뱅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은 폐와 호흡기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게티이미지뱅크
공기 중 상대 습도가 폐 건강과 호흡기 증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윤희영 순천향대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팀(석진우, 이보영)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데이터를 활용해 상대습도와 폐 기능, 호흡기 증상 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40세 이상 성인 1만396명의 폐기능검사 자료와 건강 설문지를 바탕으로 호흡기 증상을 평가하고, 상대 습도 및 기온, 미세먼지 등의 환경 데이터를 CMAQ(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모델을 이용해 참가자의 거주지와 연계 분석했다.

연구 결과 1년 이상 장기간 높은 습도에 노출된 경우 노력성 폐활량(FVC, 숨을 최대한 들이마신 후 내쉬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14일 미만의 단기간 높은 습도는 폐 기능의 일부 지표인 1초 강제호기량/노력성 폐활량(FEV1/FVC)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높은 습도가 장기적으로는 폐 조직을 보호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습도는 호흡기 증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90일~180일 동안 중기적으로 높은 습도에 노출된 경우 만성 기침과 가래 증상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적절한 습도 유지가 기관지 점막을 보호하고,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해 공기 중 습도와 폐 기능 및 호흡기 증상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특정 계절이나 단기적인 환경 변화에 초점을 맞췄지만, 이번 연구는 장·단기 습도 변화가 호흡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장기적으로 적정 습도가 유지될 경우 폐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는 점과 단기적인 고습 환경이 오히려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밝힌 것이 주목할 만하다.

윤희영 교수는 “대기 습도는 호흡기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폐 기능과 호흡기 증상에도 연관이 있다”며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활용해 습도를 유지하고, 여름철에는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환기를 자주 하는 것이 폐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습도와 호흡기 건강의 연관성: 2016-2018 대한민국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호흡기 연구(Respiratory Research)에 게재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33-7107

입소 상담

상담하기

온라인 상담

카카오 채널

간편상담신청

- -
(필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