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요양보호사 문화 충돌 우려…청주시 묘안은 ‘고려인’
페이지 정보
본문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요양뉴스=최연지 기자] 요양보호사 인력난에 외국인 투입이 검토되면서 문화 차이로 인한 요양 서비스 질 저하 우려가 문제점으로 커지고 있다. 이에 청주시는 한국 정서를 보유한 고려인 요양보호사를 육성해 초고령사회 대비에 나섰다.
6일 요양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청주시는 ‘2025년도 지역별 재외동포 정착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돼 오는 4월부터 외국인 요양보호사 육성 사업을 시작한다. 시는 총 5000만 원(국비 2700만 원·시비 2300만 원)을 투입해 재외동포 요양보호사 50명의 현장 취업을 목표로 교육비 전액과 교육과정 운영 등을 지원한다.
시는 추가경정예산을 확보하는 대로 관내 외국인주민지원센터와 연계해 교육과정을 홍보할 계획이다. 교육 가능 대상자는 한국어 의사소통이 가능한 관내 재외동포다. 특히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이 ‘고려인’ 밀집 거주 지역인 점을 감안하면, 본 사업은 고려인 재외동포를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외국인 인력은 문화 충돌로 돌봄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대표적 예가 한국식 반찬 제공이다. 방문요양보호사는 식사를 도우며 반찬 등 요리도 직접 만들어야 하는데, 외국인은 입맛에 맞는 식사를 준비하는 데 애로사항이 존재한다.
이와 달리 고려인은 타국에서도 한국인 정서를 지켜와 문화 차이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청주시외국인주민지원센터 관계자는 “고려인은 구 소련 지역, 러시아에서 살던 우리 민족이다.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다른 국적이라도 고려인의 정서는 다른 외국인과 절대적으로 차이가 크게 난다. 현지에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나 관습을 지켜왔다”고 밝혔다.
이어 “일반적으로 외국인은 한국에서 돈을 벌고 본국으로 돌아간다. 반면 고려인은 외국에서 이방인으로 대우받다가 (한국에) 정착하기를 원한다. 부모님과 자녀도 모시고 들어온다. 취업 욕구와 생활력이 강하다”며 현장 적응력을 높게 평가하면서 “그간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어도 국민내일배움카드 등 지원 대상자가 아니라 요양보호사로서 취업이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재외동포분들께서 애로사항으로 주로 ‘구직처 찾기가 어렵다’고 하신다. 공장 외에 딱히 구직처가 없어 다양한 지원 수요가 있었다. 이를 감안해 청주시에서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 중이다. 이번 신규 사업도 그 일환”이라며 외국인 요양보호사 육성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촉구했다.
관련링크
- 이전글“대상포진 치료 ‘골든타임’ 놓치면 극한 통증 평생 이어질 수도” [건강+] 25.02.10
- 다음글[밀당365] 술이 당뇨병 ‘사각지대’를 넓힌다 25.02.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