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스

재활과 각종 의학 소식을 빠르게 접해보세요.

뉴스

티로그테마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리 저림·보행 장애 부르는 '척추관협착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최고관리자 25-10-17 00:00 댓글 0건
조회수 1   추천 0   댓글 0

본문

60대 주부 A씨는 얼마 전부터 10분 이상 걷기가 힘들어졌다.

허리가 뻐근하고 다리가 점점 저려 산책 중에도 쉬어야만 다시 걸을 수 있었다. 단순한 노화로 인한 증상이라고 생각했지만, 병원에서의 진단 결과는 ‘척추관협착증’이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뼈와 인대가 두꺼워 지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척추관)가 좁아지며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신경이 압박되면 혈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통증과 저림, 근력 약화가 나타난다.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보행 장애로, 앉거나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줄었다가 다시 서거나 걸으면 증상이 악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주부A씨 역시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터질 듯 아프다”고 증상을 호소했다.

척추관협착증은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고령층에서 특히 많이 발생한다. 나이가 들수록 척추 주변 조직의 탄력이 떨어지고, 척추관 내 공간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습관, 운동 부족,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40~50대 환자도 늘어나면서, 연령과 관계없이 조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증상을 방치하면 신경 압박이 심해져 보행이 어려워진다. 심한 경우 배뇨장애나 하지 마비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강남나누리병원 척추센터 최상수 과장은 “척추관협착증이 의심된다면 척추전문병원을 방문해 신경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기를 권장한다. CT, MRI 등 영상 검사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병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고, 환자 상태에 맞는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상수 과장(신경외과 전문의)는 또, "초기 약물·주사·물리치료 단계에서도 경험이 많은 의료진에게 적절한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척추관협착증의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인 경막외 신경성형술은 2000년대 초반부터 척추질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비수술 치료로, 지름 1mm 내외의 특수 카테터를 꼬리뼈 쪽을 통해 삽입해 유착된 신경 주변에 약물을 직접 주입한다.

강남나누리병원 척추센터 최상수 과장은 “척추관협착증은 단순한 허리 통증으로 오인하기 쉽지만, 신경 압박이 진행되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났을 때 조기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고령 환자의 경우 치료만큼 중요한 것이 척추 건강을 위한 생활 속 관리다.

무리한 운동보다 일상적인 움직임을 꾸준히 유지하고 오래 앉아 있을 때 허리를 곧게 펴고 등받이에 등을 붙여 골반을 안정시키는 자세를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척추 하중을 줄이기 위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가벼운 허리 스트레칭, 코어 근력 운동 등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척추 근력 강화 활동을 꾸준히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33-7107

입소 상담

상담하기

온라인 상담

카카오 채널

간편상담신청

- -
(필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