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스

재활과 각종 의학 소식을 빠르게 접해보세요.

뉴스

티로그테마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류마티스’ 획기적 치료제 나오나…‘관절 파괴’ 핵심 세포 규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최고관리자 25-10-16 00:00 댓글 0건
조회수 1   추천 0   댓글 0

본문

가톨릭대 연구팀, 연구결과 발표…세계 최초 성과
활막세포 직접 제어로 억제 가능성 제시 '주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유승아 교수 연구팀 등이 류마티스관절염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유승아 교수 연구팀 등이 류마티스관절염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류마티스관절염 치료 연구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내 연구팀이 관절 파괴를 일으키는 핵심 세포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단백질 치료법을 동물실험과 환자 조직에서 검증해 차세대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유승아 교수팀과 창의시스템의학연구센터 연구팀은 바이오기업 지바이오로직스와 함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특정 활막세포 아형이 질환을 악화하는 핵심 요인임을 규명했다.

류마티스관절염은 면역체계의 오류로 관절을 감싸는 얇은 막인 활막에 만성 염증이 생기고, 시간이 흐르면서 연골과 뼈가 파괴되는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이다. 현재는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약물이 주로 사용되지만, 활막세포 자체가 공격성을 유지해 재발과 진행을 막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singlecell transcriptome analysis)’을 통해 환자의 활막세포를 정밀 분석했다. 그 결과 공격성이 강한 세포 아형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이 세포는 대식세포 이동 억제 인자(MIF)라는 단백질을 비정상적으로 많이 생산해 관절 안에서 과도하게 증식하고 이동하며 뼈와 연골을 파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섬유아세포형 활막세포(MIFhigh FLS)’로 명명됐다.

류마티스관절염 관절 파괴 핵심 원인 세포 억제 확인 모식도.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류마티스관절염 관절 파괴 핵심 원인 세포 억제 확인 모식도.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연구팀은 지바이오로직스가 개발한 ‘재조합 안정화 단백질 갈렉틴–9(recombinant stabilized Galectin–9)’를 활용해 활막세포의 이상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지를 실험했다. 

갈렉틴–9는 원래 인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염증 반응과 면역 조절에 관여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단백질이 MIF와 그 수용체(CD74/CD44)의 결합을 막아 활막세포의 공격성을 제어하는 것을 확인했다. 즉, 세포가 스스로 활성화하는 ‘공격 스위치’를 꺼버린 셈이다. 갈렉틴–9는 활막세포의 증식과 이동, 침습을 억제하고 관절 파괴를 현저히 줄였다.

또한 연구팀은 환자 세포를 이식한 면역결핍 생쥐 모델과 콜라겐 유발 관절염(CIA) 모델을 통해 치료 효과를 검증했다. 갈렉틴–9를 투여한 결과 연골과 뼈의 손상이 크게 줄고 관절염 증상이 완화되는 등 기존 대표 약물인 엔브렐, 토파시티닙에 효과를 보였다. 

무엇보다 기존 치료제가 주로 염증 반응 억제에 초점을 맞춘 반면 갈렉틴–9는 질환의 근본 원인 세포를 직접 억제한다는 점에서 차별적이다.

유 교수는 “이번 연구는 류마티스관절염의 핵심 병인 세포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향후 임상 연구를 통해 실제 치료제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포 치료 분야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테라피(Molecular Therapy)’에 게재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33-7107

입소 상담

상담하기

온라인 상담

카카오 채널

간편상담신청

- -
(필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