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한 허리 통증, 참지 말고 관리하세요” [건강 올레길]
페이지 정보
본문

일상에서 허리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중장년층이 적잖다.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겠지’ 하고 참다가 증상이 악화된 경우다.
특히 중장년층에서 흔한 질환 중 하나는 척추관 협착증이다. 나이가 들수록 척추 주변 인대나 관절이 두꺼워지고 디스크가 닳거나 뼈가 자라면서 신경 통로가 좁아지는 것이 원인이다. 방치하면 다리 저림이나 보행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파크정형외과 박상훈 원장에 따르면 주로 오래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리가 저려 주저앉게 되며, 허리를 굽히거나 앉으면 통증이 줄어드는 현상이 있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그는 “이때는 약물, 물리치료, 도수치료, 신경차단술 등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일상 복귀가 가능한 경우가 많기에 초기 진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환자의 증상과 영상 결과를 종합해 맞춤형 주사치료를 시행하는 등 신경 압박을 직접 완화하는 방식의 치료법도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무조건 수술을 고려하기보다는 정확한 진단 후 단계적인 치료가 중요하다.
문제는 이러한 통증을 ‘나이 탓’ ‘피로 탓’이라 여겨 방치하는 경우다. 허리 통증이 만성화되면 활동량 저하, 스트레스, 불면 등과 맞물려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쉽다. 심리적 긴장과 통증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결국 통증 자체가 하나의 질병이 되기도 한다.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코어 근육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기르는 운동, 특히 걷기는 남녀노소 실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미 통증이 심한 경우라면 무리하지 말고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 운동 강도와 방법을 조율하는 것이 안전하다.
일상 속 허리 보호 습관도 신경 써야 한다. 장시간 앉아 있을 땐 중간중간 스트레칭, 물건을 들 땐 무릎을 굽히는 자세가 기본이다. 한쪽 어깨에만 가방을 메는 습관, 다리 꼬고 앉는 자세는 피하고 적정 체중 유지도 허리에 부담을 덜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
파크정형외과 박상훈 원장은 “허리 통증을 단순한 근육통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며 ”조기에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히 관리해야 만성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환자 맞춤형 보존적 치료법이 다양해진 만큼 더 이상 참고 견딜 필요는 없다. 정형외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관련링크
- 이전글‘이 마사지기’ 목에 쓰면 위험, 뇌졸중 발생 우려… 美 의사 경고, 이유는? 25.08.06
- 다음글흔히 먹는 ‘이것’...혈압 낮추는 데 특효 25.08.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