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통해도 괜찮아, 키로 갈거야"...틀렸습니다, 당뇨로 갑니다 [건강똑똑]
페이지 정보
본문

사진은 기사 본문과 무관함/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뉴스] 초·중·고등학생 6명 가운데 1명꼴로 비만이고, 비만 학생의 절반은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을 1개 이상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9일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연구원의 '아동·청소년 비만 예방 의료서비스 강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2023년 아동·청소년의 비만 유병률은 영유아 8.3%, 학생 16.7%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는 12명 중 1명, 초중고 학생은 6명 중 1명꼴로 비만인 셈이며, 과체중 또는 비만 유병률은 영유아 17.7%, 학생 27.3%로 집계됐다.
연구팀은 비만 학생을 대상으로 소아·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보유 여부를 별도로 파악했다.
그 결과 2023년 기준 비만 학생의 16.4%는 고혈압 전 단계, 6.5%는 고혈압으로 의심됐으며, 비만 학생의 20.2%는 당뇨병 전단계, 1.1%는 당뇨병으로 추정됐다.
이상지질혈증 진단 기준에서 총콜레스테롤이 경계 수준인 비만 학생은 33.3%, 위험 수준인 비만 학생은 15.9%로 의심됐다.
이밖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위험 범위에 있는 비만 학생은 39.1%였으며,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을 1개 이상 보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비만 학생은 50.5%로 파악됐다.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류인혁 교수는 "최근 이런 질환이 성인이 되기 전인 청소년기부터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비만한 아이들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다양한 합병증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했다.
이어 "소아·청소년 비만의 경우 합병증을 동반하더라도 약물 치료를 우선해서는 안 된다"며 "무리하게 체중을 줄이기보다는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올바르게 개선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영유아건강검진, 학생건강검진 표본조사 원시자료, 학교 밖 청소년검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다.
#과체중 #비만
관련링크
- 이전글[아미랑] 심장마비 위험 높은 암 환자… 관리법은? 25.03.11
- 다음글전남 영광군은 월 70만 원 준다는데…요양보호사 처우개선 수당 지역별 제각각 25.03.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