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자 게시판

실무자 게시판

재활에 관한 정보와 경험을 모두에게 공유해보세요

실무자 게시판

티로그테마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버인 실무정보] 장기요양기관 안전·시설 관리 체크리스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최고관리자 25-09-19 10:15
조회수 92   추천 0   댓글 0

본문

6af7e84c2b4edbe959781616c479cbaf_1758244491_1427.png


안녕하세요 실버인입니다!

요양원이나 주간보호센터 같은 장기요양기관은

어르신의 두번째 집 과도 같습니다.

따라서 안전 관리와 시설 점검은 단순한 의무를 넘어,

어르신들의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 요소인데요.

오늘은 장기요양기관에서 꼭 지켜야 할

안전·시설 관리 체크포인트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6af7e84c2b4edbe959781616c479cbaf_1758244540_0706.png

✅ 1. 화재·소방 안전 점검

  • 모든 기관은 연 1회 이상 소방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 소화기, 스프링클러, 비상구 유도등은 항상 작동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통로에 물건을 두어선 안 됩니다.

  • 직원은 정기적으로 화재 대피훈련을 실시하고, 어르신 이동 동선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이 필요합니다.

특히 어르신 대부분은 보행이 느리거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용 피난기구구조매트 같은 보조 장비를 반드시 갖추어야 합니다.

"실제 모 요양원에서는 연 2회 대피훈련을 실시해, 휠체어 이동 동선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 2. 낙상·사고 예방

  • 요양기관에서 가장 빈번한 사고가 바로 낙상입니다.

  • 복도와 화장실에는 손잡이를 설치해야 하고, 미끄럼 방지 매트도 필수입니다.

  • 침대는 높이가 낮고, 침대 옆에는 보호 난간을 설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어르신 안전사고 중 60% 이상이 낙상으로 발생합니다.

(출처: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 안전관리 지침」 2024)

"특히 화장실과 복도는 사고 발생률이 가장 높아 우선적으로 안전바를 설치해야 합니다."

✅ 3. 감염병 예방 관리

  • 장기요양기관은 매년 정기 소독을 해야 하며, 코로나19 이후 호흡기 감염병 대응 매뉴얼을 갖춰야 합니다.

  • 직원·입소자 모두 독감 예방접종 권장이 필요하며, 발열·기침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격리 및 보고해야 합니다.

  • 손 위생(손씻기)과 공기 정화(환기)는 가장 기본적인 예방 수칙입니다.

✅ 4. 시설 환경 관리

  • 조명은 충분히 밝아야 하고, 특히 밤에는 간접조명을 설치해 이동 중 시야 확보를 도와야 합니다.

  • 계단, 문턱은 가급적 없애거나 낮춰야 하고, 휠체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문과 복도 폭을 확보해야 합니다.

  • 여름철에는 냉방 시 실내외 온도 차가 5℃ 이상 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겨울철에는 실내 온도 20℃ 이상 유지가 권장됩니다.

(출처: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기관 안전관리 지침」, 2024 / 소방청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안전 관리는 어렵고 거창한 것이 아니라,

작은 점검에서 시작됩니다.

기관 운영자와 종사자 모두가 함께 신경 쓴다면,

어르신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한 두 번째 집이 될 수 있습니다.

실버인은 앞으로도 현장에서 꼭 필요한 실무 정보를 쉽게 풀어 알려드리겠습니다.

작은 실천이 큰 안전으로 이어지는 만큼,

오늘 체크리스트 꼭 한 번 점검해보시길 바랍니다.

 

이상 실버인 실무정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dafc55dd2e2803605d11a67287ebcdc8_1736297334_6506.png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33-7107

입소 상담

상담하기

온라인 상담

카카오 채널

간편상담신청

- -
(필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