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인 실무정보] 2025년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계산과 감경 기준 쉽게 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실버인 실무정보입니다!
부모님이나 가족이 장기요양 서비스를 받게 되면,
"매달 비용이 얼마나 나올까?"
"감경 혜택을 받을 수 있나?"
하는 궁금증이 생기죠.
오늘은 2025년 기준 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계산법과 감경 기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미리 알아두시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1. 본인부담금 이란?
장기요양등급을 받아 요양원, 방문요양, 주간보호 등 서비스를 이용하면
급여비용의 일부를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이 금액을 바로 본인부담금이라고 합니다.
- 재가급여(방문요양·방문목욕·주야간보호 등) → 기본 15% 부담
- 시설급여(요양원 등) → 기본 20% 부담
2. 감경이란?
소득이나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들을 위해 본인부담금을 줄여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구분 | 재가급여 | 시설급여 | 비고 |
일반 | 15% | 20% | - |
40% 감경 | 9% | 12% | - |
60% 감경 | 6% | 8% | - |
기초생활수급자 | 0% | 0% | 본인부담금 전액 면제 |
기초생활수급자는 의료급여법에 따라 장기요양 본인부담금이 전액 면제 됩니다.
3. 본인부담금 계산 방법
본인부담금은 아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본인부담금 = 서비스 금액 × 부담 비율
예시① 재가급여 서비스 금액 10만원
- 일반: 100,000원 x 15% = 15,000원
- 40% 감경: 100,000원 x 9% = 9,000원
- 60% 감경: 100,000원 x 6% = 6,000원
- 기초생활수급자: 0원
예시② 시설급여 서비스 금액 10만원
- 일반: 100,000원 x 20% = 20,000원
- 40% 감경: 100,000원 x 12% = 12,000원
- 60% 감경: 100,000원 x 8% = 8,000원
- 기초생활수급자: 0원
4. 감경 대상 자세히 알아보기
다음 기준을 충족하면 본인부담금 감경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60% 감경 대상
- 의료급여 수급권자
- 건강보험 본인부담액 경감 대상자 (희귀난치·중증질환자 등)
- 건강보험료 순위가 하위 25% 이하이면서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 40% 감경 대상
- 건강보험료 순위가 하위 25% 초과 ~ 50% 이하 이면서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핵심 체크!
- 직장세대는 '산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제외)'와 '재산과표액'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감경 적용됩니다.
- 지역세대는 '산정보험료' 기준만 충족해도 적용됩니다.
- '희귀·난치성 질환'이나 '만성질환'은 그 자체로 감경 조건이 되기보다는,
해당 질환으로 인해 '건강보험 본인부담액 경감 대상자'로 선정되었거나,
소득·재산 기준을 충족하여 감경 대상에 포함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5. 2025년 기준 보험료·재산 한도 (2025년 2월 ~ 2026년 1월 적용)
매년 2월부터 다음 해 1월까지 적용되는 기준으로,
세대 인원 및 가입 유형에 따라 상이합니다.
[예시] 2인 직장가입자 세대 (적용기간: 2025.2 ~ 2026.1)
- 건강보험료: 81,960원 이하 → 60% 감경
- 건강보험료: 81,960원 초과 ~ 122,240원 이하 → 40% 감경
- 재산: 재산세 과세표준액 합산(재산과표액, 시세와 다를 수 있음) 2억 700만원 이하
세대 인원별 세부 기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정확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 감경 적용: 자동 적용 vs 신청
- 자동 적용: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매월 요건을 확인한 달의 '다음 달'부터 감경이 적용됩니다.
- 직접 신청:
소득이나 재산의 변동으로 인해 새로 감경 기준을 충족하게 된 경우에는 직접 감경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신청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본인부담금 감경신청서' 제출 (지사 방문·우편·팩스)
공단이 요건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신청합니다.
7. 감경 적용 기간
- 보험료·재산 기준 충족자:
공단이 매월 확인 후 다음 달 1일부터 감경 혜택이 적용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건강 보험 본인부담액 경감' 인정자 등은
'경감 인정(등록)된 날 이후 발생한 본인부담액'부터 적용됩니다.
본인부담금 감경제도는 몰라서 혜택을 받기 못하는 경우가 많은 제도입니다.
조건만 충족하면 매달 수만원 ~ 수십만원을 절약할 수 있으니,
꼭 해당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실버인은 앞으로도 어르신과 가족, 그리고 현장에서 일하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해드리겠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실무정보로 찾아올게요!
관련링크
- 다음글[실버인 실무정보] 2025년 치매전문교육 일정 및 2차수 공고 안내 25.09.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